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서울시가 2025년부터 난임부부를 위한 시술비 지원 정책을 대폭 확대했습니다. 기존의 제한된 지원에서 벗어나, 시술 중단 시에도 비용을 지원하며, 자녀 수에 따라 지원 횟수를 늘리는 등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개선되었습니다. 아래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시고, 소중한 생명을 맞이하는 여정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 신청 방법

     

    난임 시술비 지원 신청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가능합니다. 온라인 신청은 서울시 임신·출산 정보센터에서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을 검색하여 진행할 수 있습니다. 신청 시 필요한 서류는 난임 진단서, 신분증, 건강보험 자격확인서 등이 있으며, 정확한 서류 목록은 해당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오프라인 신청은 가까운 보건소를 방문하여 진행할 수 있습니다. 특히 사실혼 부부의 경우 최초 신청 시 보건소 방문이 필수이며, 사실혼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보건소에서는 신청자의 자격을 확인한 후 지원결정통지서를 발급해드립니다.

     

    신청 후 지원결정통지서를 받은 후에는 해당 의료기관에 제출하여 시술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시술이 완료되면 의료기관에서 보건소에 시술비를 청구하고, 보건소에서 지원금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 대상 조건

     

    2025년 서울시 난임 시술비 지원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법적 혼인 상태 또는 사실혼 관계의 부부로, 부부 중 한 명 이상이 대한민국 국적을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또한, 건강보험에 가입되어 있어야 하며, 의료기관에서 난임 진단을 받은 경우 지원 대상에 포함됩니다.

     

    여성의 연령은 만 44세 이하로 제한되며, 사실혼 부부의 경우 최초 신청 시 보건소 방문이 필수입니다. 소득 기준은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로 적용되며, 정확한 소득 기준은 보건소나 서울시 임신·출산 정보센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지급 금액

    2025년 서울시 난임 시술비 지원 금액은 시술 종류와 횟수에 따라 다릅니다. 체외수정(IVF)의 경우 신선배아는 최대 110만 원까지 9회 지원되며, 동결배아는 최대 50만 원까지 7회 지원됩니다. 배아이식(해동배아이식)의 경우 최대 40만 원까지 7회 지원됩니다.

     

    인공수정(IUI)의 경우 최대 30만 원까지 5회 지원되며, 비급여 항목인 배아동결비, 유산방지제, 착상보조제 등도 일부 지원됩니다. 정확한 지원 금액과 횟수는 보건소나 서울시 임신·출산 정보센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